시에라 포폴루카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멕시코 베라크루스주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소테아판, 타타우이카판, 우에야판 데 오캄포 지역에서 주로 사용되며, 나우아틀어와 스페인어의 영향을 받았다. SIL 국제와 베라크루스 원주민 언어 학술원에서 개발한 두 가지 철자법이 존재하며, 12개의 모음과 13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음운 체계를 갖는다. 교착어이자 포합어이며, 명사, 대명사, 형용사, 수사, 동사 등 다양한 품사가 존재한다. 문장의 어순은 실용적인 면에 따라 결정되며, 다양한 어순이 나타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멕시코의 언어 - 스페인어
스페인어는 로망스어군에 속하며 전 세계 5억 명 이상의 화자를 가진 언어로, 스페인을 비롯한 20개국 이상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유엔의 공식 언어 중 하나이다. - 멕시코의 언어 - 유카텍 마야어
유카텍 마야어는 멕시코 유카탄 반도와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는 마야어족 언어로, 약 5,000년의 역사를 지니고 고대 마야 문명과 관련이 깊으며, 현재 멕시코와 벨리즈에 화자가 있고 독특한 음운 체계와 능격 문법을 가진 언어이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헤소케어족
미헤소케어어족은 메소아메리카의 언어족으로, 올멕 및 테오티와칸 문명과의 연관성 주장이 있지만 고고학적 자료 부족으로 논쟁 중이며,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뉘고,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 능격-절대격 정렬을 특징으로 한다.
시에라 포폴루카어 | |
---|---|
언어 정보 | |
이름 | 시에라 포폴루카어 |
다른 이름 | 소테아파네크어 |
자생어 이름 | Nuntsajɨyi |
사용 국가 | 멕시코 |
사용 지역 | 베라크루스주 |
사용자 수 | 36,113 (2020년 인구 조사) |
언어 계통 | 미헤소케어족 - 소케어파 - 멕시코만 소케어군 |
ISO 639-3 | poi |
언어 기관 | INALI |
Glottolog | high1276 |
Glottolog 설명 | Highland Popoluca |
음성 기호 | IPA |
Lingua | 69-HAB-aa |
2. 분포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다음 지역에서 사용된다.
지역 |
---|
소테아판 |
타타우이카판 |
우에야판 데 오캄포 |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철자법은 SIL 국제에서 개발한 것과 베라크루스 원주민 언어 학술원(Academia Veracruzana de las Lenguas Indígenas, AVELI)에서 개발한 것, 두 가지가 있다.
이 외에도 카테마코, 피에드라 라브라다, 산타 로사 신테펙 등에서도 사용된다. 나우아틀어와 스페인어 또한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며, 언어 접촉을 통해 시에라 포폴루카어에 영향을 미쳤다.[1]
3. 문자 체계
3. 1. AVELI 철자법
AVELI 철자법에서는 장모음을 글자를 두 번 써서 나타내고, 성문 파열음은 아포스트로피로 나타낸다.[2]
3. 2. SIL 철자법
SIL 국제의 철자법에서는 장모음을 글자 아래에 마크롱(macron)을 사용하여 나타내고, 성문 파열음은 모음 위에 첨예 악센트(acute accent)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단, 두 모음 사이에 있거나 단어의 끝에 있는 경우는 예외이다.[1]
4. 음운론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음운 체계는 12개의 모음 음소와 13개의 자음 음소로 구성된다. 모음은 6개의 단모음(/i/, /ɛ/, /ɘ/, /a/, /u/, /ɔ/)과 각각에 해당하는 장모음으로 이루어져 있다.
일부 단어에는 "지정되지 않은 기저 분절" (/H/)이 포함되어 있으며, 나타나는 환경에 따라 다음 규칙에 따라 세 가지 방식으로 교체된다.
조건 | 규칙 |
---|---|
V__C | H → ː |
V__# | H → ːh |
V__wɘm | H → Ø |
메인 자음 체계 외에도 의성어, 스페인어 차용어 또는 문체적 변형에만 사용되는 단어에 나타나는 11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제한된 음소 체계가 있다.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음절 구조는 (C)CV(ː)(ʔ)(C)(C)이다. 초성 및 종성 자음군에 대한 음운 제약이 있다. 초성의 경우 /tr/, /kr/, /kw/ 자음군만 허용된다. 종성의 경우, 모든 2자음군은 /p, k, ʔ/ 중 하나로 시작해야 하며, 3자음군은 /ʔps/ 및 /ʔks/로만 제한된다.[1]
시에라 포폴루카어에는 세 가지 강세가 있다. 첫째는 제1 강세(끝에서 두 번째 음절 또는 마지막 음절에 올 수 있음), 둘째는 제2 강세(어미가 아닌 가장 왼쪽 음절에 할당됨), 셋째는 제3 강세(제1 강세 앞의 가장 무거운 음절에 해당)이다.[1]
4. 1. 모음
시에라 포폴루카어에는 12개의 모음 음소가 있는데, 6개의 서로 다른 단모음(/i/, /ɛ/, /ɘ/, /a/, /u/, /ɔ/)과 각각에 해당하는 장모음이 있다.
4. 2. 자음
m | n | ŋ | |||
p | t | k | ʔ | ||
ts | |||||
s | h | ||||
w | j | ||||
지정되지 않은 분절 | H |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자음 체계는 13개의 자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부 단어에는 "지정되지 않은 기저 분절" (/H/)이 포함되어 있으며, 나타나는 환경에 따라 다음 규칙에 따라 세 가지 방식으로 교체된다.
조건 | 규칙 |
---|---|
V__C | H → ː |
V__# | H → ːh |
V__wɘm | H → Ø |
b | d | tʲ, dʲ | g | |
tʃ | ||||
ʃ | ||||
ɲ | ||||
l | ||||
ɾ | ||||
r |
메인 자음 체계 외에도 11개의 자음으로 구성된 제한된 음소 체계가 있다. 이 자음들은 의성어, 스페인어 차용어 또는 문체적 변형에만 사용되는 단어에 나타나기 때문에 "제한적"이라고 간주된다.
4. 3. 음절 구조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음절 구조는 (C)CV(ː)(ʔ)(C)(C)이다. 각 음절 구조의 예시를 포함하는 단어는 아래 표에 제시되어 있다.[1]구조 | 단어 | 번역 |
---|---|---|
CV | [ku.'tʲuːm] | 혼자 |
CVː | ['kɘː.piʰ] | 장작 |
CVC | ['pakʰ] | 뼈 |
CVːC | ['huːtʲʰ] | 어디 |
CVʔC | ['kaʔn.puˀ] | 달걀 |
CVʔCC | [ʔa.'sɔʔps.paˀ] | 피곤하다 |
CCVC | ['traj.tʲiˀ] | 아이, 청소년 남성 |
CCVCC | ['kruʔj.tʲiˀ] | 메추라기 |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초성 및 종성 자음군에 대한 음운 제약을 가지고 있다. 초성의 경우, /tr/, /kr/, /kw/ 자음군만 허용된다. 종성의 경우, 모든 2자음군은 /p, k, ʔ/ 중 하나로 시작해야 하며, 3자음군은 /ʔps/ 및 /ʔks/로만 제한된다.[1]
4. 4. 강세
시에라 포폴루카어에는 세 가지 강세가 있다. 첫째는 제1 강세(끝에서 두 번째 음절 또는 마지막 음절에 올 수 있음), 둘째는 제2 강세(어미가 아닌 가장 왼쪽 음절에 할당됨), 셋째는 제3 강세(제1 강세 앞의 가장 무거운 음절에 해당)이다. 각 강세 유형의 예를 담고 있는 단어는 다음 표에 제시되어 있다.[1]유형 | 단어 | 번역 |
---|---|---|
제1 강세 | nümnéʔ | '그는 말했다.' |
제2 강세 | nǜmneʔyájpa | '그들은 말했다.' |
제3 강세 | nǜmmàʔyyajtáabam | '그들은 들었다.' |
5. 문법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교착어이자 포합어이며, 형태소는 주로 굴절 형태소이다. 접두사는 없고, 부착어와 접미사가 대략 비슷한 비율로 사용된다. 형태론적 과정인 중복과 합성도 나타난다.[1]
시에라 포폴루카어에는 명사, 동사, 형용사의 세 가지 주요 품사가 있다.[1]
관계절시에라 포폴루카어에서 관계절을 만드는 방법은 관계사화 접미사 `+pɨ(ʔ)k` / `+ʔpV`를 사용하거나, 관계대명사 `tyiimɨ` ('with which')를 사용하는 것이다.[1]
`+pɨʔk`는 주로 명사, 형용사, 비동사 요소에 붙고, `+pɨk`는 동사에 붙는다. "큰 집"은 `mɨjtam+pɨʔk tɨk`로 표현된다. (`mɨjtam`='크다'(형용사), `tɨk`='집'(명사))[1]
관계대명사 `tyiimɨ`는 대명사 `tyiH`+장소 후치사 `mɨ` 형태이다. 자동사 주어나 타동사 목적어는 `tyiimi`를 사용해 관계절로 만든다. "그가 산"은 `ʔityum tyiimɨ ʔi+juʔyaʔpa`로 표현된다.[1]
관계사절 분포에는 접근성 위계가 작용한다. 공지시 명사구(NP)는 '주어 > 직접 목적어 > 간접목적어 > 사격 > 속격 > 비교 대상' 순서를 따른다.[1]
`-ʔpV`는 동사에 붙는 관계사화 접미사로, 명사/지시대명사/관계대명사를 핵어로 삼거나 핵어가 없을 수도 있다.[1]
`+pɨʔk`는 어휘화되기도 한다. (`ʔaach` (elder) + `piʔk` = 'big brother', `ʔanh` (last) + `piʔk` = 'the last') `-ʔpV` 관계사화 표현도 어휘화된다. ("선생" = `yuj` (익숙해지다) + `-ʔpV`)[1]
접사시에라 포폴루카어 명사는 Set-A(능격) 인칭 표지와 Set-B(절대격) 인칭 표지로 굴절된다. Set-A 전접어는 타동사 주어 일치, 명사 소유격 인칭 표지 기능을 한다. 절대격 전접어는 명사성 서술어에 나타난다. 친족어는 Set-A, Set-B, Set-C 전접어와 굴절된다. Set-C는 '국부적' 위치, 두 논항을 가리킨다.[1]
명사 복수형은 +tam, +yaj이다. tam은 사람, 대명사/소유형태명사에서 발화참여자(SAP)를 표지한다. yaj는 비인간, SAP 미표지 시 사용된다. (친족어 yoomo '여자', tziixi '어린이/손자' 등은 tam, chimpa '개', '돌', '꽃' 등은 yaj).[1]
대명사는 SAP 일치 패턴 따라 +tam이 붙지만, 3인칭 yeʔ는 yaj로 표지된다. 집단명사 표지 접사 =ʔanhjoj는 집합성 표지로, 무정물/유정물/사람/지리 영역에 사용된다.[1]
명사 파생 접사는 -i(명사화), -kuj(도구), -kɨʔɨwiny(복수 행위자) 등이 있다. 동사 전성 파생 접미사 -ʔaH는 명사/형용사를 동사로 파생시킨다. (yuʔ → yuʔaap)[1]
28개 접미사는 파생적, 굴절적, 가 조절 접미사로 분류된다. 명사는 파생 접미사만, 동사는 세 범주 모두 접미사를 취한다.[1]
접미사 | 유형 | 기능 | 단어 | 의미 | 번역 |
---|---|---|---|---|---|
-i | 파생적 | 명사화 | wiʔk-i | 먹다-NOM | 음식[1] |
-ü | 굴절적 | 명령형 | koony-ü | 앉다-IMP | 앉아(명령)[1] |
-ʔüʔy | 파생적 | 잠정적 | jawanh-ʔüʔy | 열-PROV | 열이 나다[1] |
-ʔiny | 굴절적 | 희망형 | matonh-ʔiny | 듣다-OPT | 들어야 한다[1] |
-taH | 가 조절 | 피동 | suy-taH | 올가미-PASS | 올가미에 걸리다[1] |
17개 전치사 중 10개는 인칭 표시, 3개는 가치 조정, 2개는 파생, 2개는 고유 기능이다. 동사는 모든 전치사 사용, 명사는 가치 조정 제외 전치사 사용.[1]
9개 후치사 중 6개는 부사적, 2개는 굴절적, 1개는 관계사이다. 명사는 세 종류 모두, 동사는 부사적 후치사만 사용.[1]
후치사 | 유형 | 기능 | 단어 | 원문 의미 | 번역 |
---|---|---|---|---|---|
+yaj | 굴절적 | 3인칭/비인간 복수 | tzaʔ+yaj | 돌+비인간복수 | '돌들' |
+tyi | 부사적 | "그냥" | yüʔüm+tyi | 여기+그냥 | '바로 여기' |
+tam | 굴절적 | 1/2인칭 인간 복수 | yoomo+tam | 여자+인간복수 | '여자들' |
+püʔk | 관계사 | 관계사 | tum puktuuku yagatz+püʔk | 하나 옷 크다+관계사 | '큰 옷' |
+nam | 부사적 | "아직" | tzüüxi+nam | 작다+아직 | '아직 작다' |
중복명사/동사 어근 중복(전체)은 굴절/파생 기능이다. 강도/빈도, 보행 접미사 '-ʔoʔy'와 결합해 반복 행동 표현.[1]
기능 | 단어 | 의미 | 번역 |
---|---|---|---|
파생적 | looko~looko | 소리~중복 | 외치다[2] |
빈도, 강도 | ʔaʔm~ʔaʔm | 보다~중복 | 주시하다[3] |
보행 | monh~monh-ʔoʔy | 자다~중복-보행 | 이곳저곳에서 잠을 자다[3] |
빈도, 강도 | was~was | 물다~중복 | 반복해서 물다 |
강도 | ʔuk~ʔuk | 마시다~중복 | 모두 마시다 |
복합어모든 품사에서 복합어가 발견되며 생산성이 높다.[1]
구조 | 단어 | 의미 | 번역 |
---|---|---|---|
명사=명사 | mok=yooya | 옥수수=돼지 | 페커리[1] |
명사=동사 | pooy=ʔix | 달=보다 | 생리를 하다[2] |
명사=명사 | tzuj-i=nüʔ | 침-NOM=물 | 침[1] |
형용사=명사 | müj=pak | 큰=뼈 | 허리[3] |
명사=동사 | manük=wat | 아이=만들다 | 임신시키다[2] |
5. 1. 명사
명사의 경우 작은 수의 굴절 형태소를 지닌다. 즉, 동사에 비해서 더 적은 형태론적 변이들을 지닌다. 명사는 복수나 소유 형태로 표지될 수 있으나, 동사와 다르게 대개 기본 형태로 나타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복수 표지의 경우는 의무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또 복수성은 맥락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우가 잦다.[1]시에라 포폴루카어의 명사 부류들로는 어휘명사를 포함하여 인칭, 지시, 의문, 그리고 파생된 대명사들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어휘명사들은 복수성과 소유형을 갖는다. 다수의 명사 부류는 의미적으로 명사 부류로 분류되지만, 필수 소유 명사나 친족 어휘와 같은 경우는 형태통사론적으로도 정의된다.
명사는 일반적으로 Set-A(능격) 인칭 표지와 Set-B(절대격) 인칭 표지로 굴절된다. Set-A 전접어는 두 개의 기능을 갖는다. 하나는 타동사에 동사의 주어에 부가되는 일치표지로, 명사에는 명사의 소유어와 함께 쓰이는 인칭 표지로 사용된다. 절대격 전접어 표지는 명사성 서술어로 사용될 때 나타날 수 있다.
친족 어휘의 경우는 Set-A, Set-B, Set-C 전접어와 함께 굴절된다. Set-A 표지는 명사성 서술어의 주어를 나타내고, Set-B 접어는 명사의 소유자를 나타낸다. Set-C 전접어는 '국부적으로' 위치하고 두 가지 논항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
명사 부류에서 복수 형태는 +tam, +yaj의 형태로 나타난다. tam은 사람을 나타내고, 대명사와 소유형태명사에서 발화 참여자(SAP)를 표지한다. 그러나 yaj는 그와 반대로 사람이 아니거나, SAP를 표지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특히 친족 어휘 yoomo '여자', tziixi '어린이', '손자' 등은 tam에 의해서 표지된다. 그러나 chimpa '개', '돌', '꽃'과 같은 것은 yaj에 의해서 표지된다.
대명사의 경우에, SAP 일치 패턴에 의해서 +tam이 표지된다. 그러나 3인칭 yeʔ는 yaj에 의해서 표지된다. 또한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집단명사를 표지하는 접사도 갖고 있다. =ʔanhjoj라는 표지는 어떤 집단이나 클러스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집합성 표지의 일종이다. 이 접사의 경우에 무정물, 유정물, 사람, 그리고 지리학적 영역에까지 다 사용될 수 있다. 명사를 파생시키는 접사들로는 -i(명사화 접사), -kuj(도구), -kɨʔɨwiny(복수 행위자) 등이 있다.
그 외에 동사 전성 파생 접미사 -ʔaH, -ʔɨʔy등이 존재한다. -ʔaH는 명사(그리고 형용사)를 동사로 파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yuʔ는 yuʔaap으로 파생될 수 있다.
5. 2. 대명사
시에라 포폴루카어에는 인칭대명사, 지시대명사, 관계 대명사, 의문형 대명사, 부정대명사 등이 있다.1인칭 대명사는 ʔɨch, 2인칭 대명사는 mich, 3인칭 대명사는 yeʔ가 있다.
5. 3. 형용사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형용사는 명사구 안에서 명사를 수식하거나, 비동사 구문의 서술어로 사용될 수 있다. 형용사가 서술어로 사용될 때는 명사와 같은 패턴을 보이며, 인칭과 수 표지로 굴절한다. 명사와 마찬가지로, 형용사는 핵어 관계사절, 보조적 서술어로도 사용될 수 있다.형용사는 명사와 다르게 명사화 접사 '-ʔaH'를 사용한다. 또한 동사와 다르게 '-ʔaH'를 제외하고는 상이나 태를 나타내는 굴절 형태론적 표지를 지니지 않는다.
형용사 부류는 차원, 나이, 색깔, 신체적 성질, 물리적 성질, 인간적 성질, 그리고 가치를 포괄한다.
차원을 나타내는 어휘는 다음과 같다.
어휘 | 의미 |
---|---|
chejche | 얇은, 깨끗한, 간단한 |
noko | 가까운 |
nyoko | 짧은 |
wonh | 짧은 |
xuutyu | 작은 |
yagatz | 긴 |
나이를 나타내는 어휘는 다음과 같다.
어휘 | 의미 |
---|---|
joomi | 새로운 |
maanyi | 젊은, 초록의 |
tzaami | 늙은(사람) |
색깔을 나타내는 어휘는 다음과 같다.
어휘 | 의미 |
---|---|
chiʔi | 갈색, 커피색 |
meekuj | 커피색 |
pooja | 회색, 재색 |
poopo | 흰색 |
puʔuch | 노란색 |
tzabatz | 빨간색 |
tzuus | 초록색, 파란색 |
yɨk | 검은색, 갈색 |
많은 수의 형용사 어휘들은 다른 품사에서 도출된 것이거나, 주로 스페인어에서 빌려온 것이지만, 60여 개의 형용사 어근은 고유어에 이미 존재하는 것이다. 많은 수의 형용사들은 명사, 동사, 형용사, 또는 알려지지 않은 근원들의 중복된 어근들로 구성된다.
어휘 | 의미 | 어원 |
---|---|---|
ʔoʔmʔoʔm | 훈제된 흙/나무의 냄새/맛 | ʔoʔm '무언가를 훈제하다' |
maymay | 만족한, 행복한 | |
mujamuja | 축축한, 젖은 | muj '젖게 만들다' |
nyɨʔchinyɨchi | 주름진 | |
patapata | 정사각형 | |
punpun | 곧은, 부드러운, 미끄러운 |
통사적인 관점에서,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명사 앞에 형용사를 둠으로써 명사를 수식한다. 만약에 형용사가 뒤에 오면, 형용사는 관계사화 '+pɨk'을 사용하고, 관계사절로 해석된다. 또한 형용사는 다른 형용사를 수식할 수 있다.
형용사가 서술어로 쓰이는 경우도 있다. 형용사가 서술어로 쓰이는 경우에, 절대격 후접어가 붙는다. 일반적으로 주어 뒤에 사용된다. 비교를 위해서도 형용사가 사용되는데, 이런 경우 병치절의 형태로 사용된다. 또한 스페인어에서 차용된 'nada mas'(no more, just, only, simply), 'maas'(more)가 사용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형용사는 비동사 서술어나 명사를 수식하고, 그들과 같은 단위를 만들 수 있다. 또한, 동사와 함께 공기하며 같은 단위로 기능할 수 있다.
5. 4. 수사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수사는 =teen, =naH, =tɨk의 세 종류가 있다. 일반적으로 수사는 수사 어근과 수사 접사로 이루어지는데, 수사 어근은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수사는 보통 명사 앞에 오며, 명사를 수식하는 지시사보다 앞에 온다. 또한 수사는 비동사 서술어로 사용될 수 있다.
스페인어에서 차용된 수사도 있다. 1과 3의 경우에는 시에라 포폴루카어 고유 수사가 선호되지만, 4와 5의 경우에는 스페인어가 더 선호되며, 6은 스페인어로만 사용된다. 스페인어에서 차용된 수사들 역시 명사를 수식하고, 명사구(NP)의 핵어로 사용되며, 비동사 서술어로도 사용된다. 또한 ku+ 접두사에 의해 활용된다.
5. 5. 동사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동사 부류는 일반적으로 어근 자체로 나타나지 않는다. 일반적인 동사의 주형은 다음과 같다.Inflectional Proclitics + Valency/Voice Proclitics + Verb Stem + Derivational/Class Adjusting/Inflectional Suffixes + Adverbial Enclitics
타동사의 경우 Set A 표지와 Set B 표지, 그리고 Set C 표지가 있다. 이 표지들은 일반적으로 위계적 질서를 형성하며 나타난다. 예를 들어, A와 O를 그 논항으로 갖는 동사가 있다면, 1인칭 A 만이 표지되는 경우가 있다.
5. 6. 관계절
시에라 포폴루카어에서 관계절을 만드는 방법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관계사화 접미사 `+pɨ(ʔ)k` 또는 `+ʔpV`를 사용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관계대명사 `tyiimɨ` ('with which')를 사용하는 것이다.`+pɨʔk`는 주로 명사, 형용사, 비동사 요소에 붙고, `+pɨk`는 완전히 굴절되는 동사에 붙는다. 예를 들어, "큰 집"은 `mɨjtam+pɨʔk tɨk`와 같이 표현된다.[1] 여기서 `mɨjtam`은 '크다'라는 형용사이고, `tɨk`는 '집'이라는 명사이다.
관계대명사 `tyiimɨ`는 대명사 `tyiH`에 장소 후치사 `mɨ`가 결합된 형태이다. 자동사의 주어나 타동사의 목적어는 `tyiimi`를 사용하여 관계절로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그가 산"은 `ʔityum tyiimɨ ʔi+juʔyaʔpa`와 같이 표현된다.[1]
관계사절의 분포에는 접근성 위계가 작용한다. 관계사절 내에서 공지시하는 명사구(NP)는 다음과 같은 위계를 따른다.[1]
- 주어 > 직접 목적어 > 간접목적어 > 사격 > 속격 > 비교의 대상
`-ʔpV`는 동사에 붙는 관계사화 접미사이다. `-ʔpV`로 만들어진 관계사절은 명사, 지시대명사, 관계대명사를 핵어로 삼거나, 핵어가 없을 수도 있다.[1]
`+pɨʔk`는 어휘화된 표현을 만들기도 한다. 예를 들어, `ʔaach` (elder)에 `piʔk`가 결합하면 'big brother'라는 뜻이 되고, `ʔanh` (last)에 `piʔk`가 결합하면 'the last'라는 뜻이 된다. `-ʔpV`로 관계사화된 표현도 어휘화되는데, "선생"이라는 단어는 '익숙해지다'라는 뜻의 어근 `yuj`에 `-ʔpV`가 결합된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과거에는 `+piʔk`가 명사화 요소로 간주되기도 했다.[1]
5. 7. 접사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명사는 일반적으로 Set-A(능격) 인칭 표지와 Set-B(절대격) 인칭 표지로 굴절된다. Set-A 전접어는 타동사의 주어 일치 표지, 명사의 소유격 인칭 표지 등 두 가지 기능을 한다. 절대격 전접어 표지는 명사성 서술어로 사용될 때 나타날 수 있다. 친족 어휘의 경우 Set-A, Set-B, Set-C 전접어와 함께 굴절된다. Set-C 전접어는 '국부적으로' 위치하고 두 가지 논항을 가리킬 때 사용된다.[1]명사 복수 형태는 +tam, +yaj 형태로 나타난다. tam은 사람을 나타내고, 대명사와 소유형태명사에서 발화 참여자(SAP)를 표지한다. yaj는 사람이 아니거나, SAP를 표지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친족 어휘 yoomo '여자', tziixi '어린이', '손자' 등은 tam으로 표지되지만, chimpa '개', '돌', '꽃' 등은 yaj로 표지된다.[1]
대명사의 경우, SAP 일치 패턴에 따라 +tam이 표지되지만, 3인칭 yeʔ는 yaj로 표지된다.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집단명사를 표지하는 접사 =ʔanhjoj도 가지고 있는데, 이는 집합성 표지의 일종으로 무정물, 유정물, 사람, 지리학적 영역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1]
명사 파생 접사로는 -i(명사화 접사), -kuj(도구), -kɨʔɨwiny(복수 행위자) 등이 있다. 동사 전성 파생 접미사 -ʔaH는 명사나 형용사를 동사로 파생시킨다. (yuʔ → yuʔaap)[1]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28개의 접미사를 가지며, 이들은 모두 파생적, 굴절적, 또는 가 조절 접미사로 분류될 수 있다. 명사는 파생 접미사만 취하는 반면, 동사는 세 범주 모두에서 접미사를 취한다.[1]
접미사 | 유형 | 기능 | 단어 | 의미 | 번역 |
---|---|---|---|---|---|
-i | 파생적 | 명사화 | wiʔk-i | 먹다-NOM | 음식[1] |
-ü | 굴절적 | 명령형 | koony-ü | 앉다-IMP | 앉아(명령)[1] |
-ʔüʔy | 파생적 | 잠정적 | jawanh-ʔüʔy | 열-PROV | 열이 나다[1] |
-ʔiny | 굴절적 | 희망형 | matonh-ʔiny | 듣다-OPT | 들어야 한다[1] |
-taH | 가 조절 | 피동 | suy-taH | 올가미-PASS | 올가미에 걸리다[1] |
시에라 포폴루카어에는 17개의 전치사가 있다. 이 중 10개는 인칭 표시에 사용되고, 3개는 가치 조정에 사용되며, 2개는 파생적이며, 마지막 2개는 다른 고유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동사는 모든 유형의 전치사를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명사는 가치 조정 전치사를 제외한 모든 전치사를 사용할 수 있다.[1]
시에라 포폴루카어에는 9개의 후치사가 있는데, 이 중 6개는 부사적이고, 2개는 굴절적이며, 1개는 관계사이다. 명사는 세 종류의 후치사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반면, 동사는 부사적 후치사만 사용할 수 있다.[1]
후치사 | 유형 | 기능 | 단어 | 원문 의미 | 번역 |
---|---|---|---|---|---|
+yaj | 굴절적 | 3인칭/비인간 복수 | tzaʔ+yaj | 돌+비인간복수 | '돌들' |
+tyi | 부사적 | "그냥" | yüʔüm+tyi | 여기+그냥 | '바로 여기' |
+tam | 굴절적 | 1/2인칭 인간 복수 | yoomo+tam | 여자+인간복수 | '여자들' |
+püʔk | 관계사 | 관계사 | tum puktuuku yagatz+püʔk | 하나 옷 크다+관계사 | '큰 옷' |
+nam | 부사적 | "아직" | tzüüxi+nam | 작다+아직 | '아직 작다' |
5. 8. 중복
시에라 포폴루카어에서는 명사와 동사 모두에서 어근의 중복(전체 중복)이 나타나며, 이는 굴절적이거나 파생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1] 일반적으로 강도나 빈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만, 보행 접미사 '-ʔoʔy'와 결합하여 "어떤 행동을 반복하며 돌아다니는 느낌"[1]을 표현할 수도 있다. 다음은 다양한 중복의 예시이다.기능 | 단어 | 의미 | 번역 |
---|---|---|---|
파생적 | looko~looko | 소리~중복 | 외치다[2] |
빈도, 강도 | ʔaʔm~ʔaʔm | 보다~중복 | 주시하다[3] |
보행 | monh~monh-ʔoʔy | 자다~중복-보행 | 이곳저곳에서 잠을 자다[3] |
빈도, 강도 | was~was | 물다~중복 | 반복해서 물다 |
강도 | ʔuk~ʔuk | 마시다~중복 | 모두 마시다 |
5. 9. 복합어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복합어는 모든 품사에서 발견되며 생산성이 매우 높다.[1] 다음은 복합어의 예시이다.구조 | 단어 | 의미 | 번역 |
---|---|---|---|
명사=명사 | mok=yooya | 옥수수=돼지 | 페커리[1] |
명사=동사 | pooy=ʔix | 달=보다 | 생리를 하다[2] |
명사=명사 | tzuj-i=nüʔ | 침-NOM=물 | 침[1] |
형용사=명사 | müj=pak | 큰=뼈 | 허리[3] |
명사=동사 | manük=wat | 아이=만들다 | 임신시키다[2] |
6. 통사론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절대격-능격 언어이자 두부 표지 언어이다. 기본 절은 최소한 술어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ʔa+seet-pa|나는 돌아온다nys[1] 최대, 굴절된 복합 술어와 최대 세 개의 수식된 논항을 포함할 수 있다.ʔan+jaatunh ʔi+maʔy [1]
6. 1. 기본 어순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어순은 대부분 실용적인 면에 따라 결정된다. 타동사 문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가능한 여섯 가지 어순이 모두 나타난다.[1]- '''VSO''' ʔokmü ʔi+ma?y-W ʔan+tüüwü jeʔm potro|그 후, 내 형제가 암말을 팔았다.nys
- '''VOS''' ʔi+ʔix-W kaʔnpu jeʔm choomo nüʔ-küʔ.mü|그 할머니는 물 속에서 알을 보았다.nys
- '''SVO''' jeʔm yoomo ʔagi+ʔi+ʔaʔm-W jeʔm tzuʔukiny|그 여자는 지렁이를 뚫어지게 쳐다보았다.nys
- '''SOV''' jay
- '''OVS''' yüʔp many
- '''OSV''' mich ʔin+choomo dya jeʔm+püʔk mi+toy-taʔm-pa|할머니는 당신을 사랑하지 않습니다.nys
자동사 문장에서는 가능한 두 가지 어순이 모두 나타난다.[2]
- '''SV''' jeʔm toro tzaʔ-küʔüm Ø+nuʔk-pa|황소가 돌에 도착한다.nys
- '''VS''' Ø+nuʔk-W+ʔam jeʔm yoomo|그 여자가 도착한다.nys
그러나 모든 어순이 동일한 빈도로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텍스트에서 4,000개 이상의 절을 분석한 결과 타동사 및 자동사 문장에서의 어순 분포는 다음과 같다.[3]
어순 | 빈도 |
---|---|
SVO | 72.37% |
VSO | 5.26% |
VOS | 7.89% |
OVS | 6.58% |
OSV | 2.63% |
SOV | 5.26% |
어순 | 빈도 |
---|---|
SV | 34.86% |
VS | 65.14% |
6. 2. 상대적 어순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상대적인 단어 순서 측면에서 VO(동사-목적어) 언어와 OV(목적어-동사) 언어의 일부 구조적 특징을 모두 보인다. 이러한 구조의 몇 가지 예는 다음과 같다.[1]- 소유자가 소유물을 선행한다(OV 언어에서 흔함).
: diablo ʔi+jos|악마의 굴 (지옥)mdf
- 조동사가 본동사에 선행한다(VO 언어에서 흔함).
: püüxiny moj-W Ø+wej-i|그 남자는 울기 시작했다.mdf
- 보어화자가 보어절에 선행한다(VO 언어에서 흔함).
: ʔi+ʔix-W+tyi+ʔam ʔiga+ʔüch dya ʔan+joʔy-kaʔ-W|그는 내가 화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mdf
6. 3. 명사 수식어 순서
시에라 포폴루카어의 명사는 지시사, 형용사, 양화사, 소유격, 관계절의 수식을 받을 수 있다.[1] 수식어가 수식하는 명사 앞에 오는지 뒤에 오는지는 수식어에 따라 다르다.: ʔoy-taʔm-W yüʔp kootzük|우리는 이 언덕들에 갔다.pop
: ʔi+na+miny-wü puro muja kuy|그는 순수한 젖은 나무를 가져왔다.pop
: jeʔm ʔi+na+ʔity-yaj-W Ø+müjtam+püʔk tük|그들은 큰 집들을 가지고 있다.pop
: süʔüp na+miny-ü tuum puktuuku Ø+yagatz+püʔk|이제, 긴 천을 가져와.pop
참조
[1]
웹사이트
Lenguas indígenas y hablantes de 3 años y más, 2020
http://cuentame.ineg[...]
INEGI
[2]
웹사이트
Popoluca, Highland
https://www.ethnolog[...]
2019-04-19
[3]
간행물
"Catálogo de las Lenguas Indígenas Nacionales: Variantes Lingüísticas de México con sus autodenominaciones y referencias geoestadísticas."
http://www.endangere[...]
INALI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